귀를 통한 소음진동 감지 메카니즘
------------------------------------------------------------------------------------
인간에게는 기계보다 휠씬 우수하고 정교한 센서를 많이 장착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청각기구는 귓바퀴에서 소리를 모아 외이도를 통해 고막을 진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외이’,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달팽이관을 울려주는 ‘중이’, 그리고 소리를 적절히 구분하여 청신격에 전달해 주는 달팽이관(와우)의 ‘내이’로 구성되어 있는 ‘귀시스템’으로서 그 무엇보다 가장 우수하고 정교한 청각 및 진동센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에 위의 한가지라도 정상이 아닌 채 작동한다면 인간은 정상적인 생활이 불편하기 마련이다. 예를들어 귓바퀴가 없도록 고형채 등으로 밋밋한 형태로 귓바퀴만 매꾸어 주어도 시각없이 소리의 위와 아래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듯이 말이다.
귀와 소음진동센서
인간의 귓바퀴의 외이도(귓구멍)은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며 전달된 소리에너지는 고막을 통해 ‘진동운동’으로 변환된다. 고막과 달팽이관 사이에 망치뼈, 모두뼈, 등자뼈가 공기중의 진동에너지를 달팽이관 속의 기저막에 진동시키도록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고막과 달팽이관 난원창간의 면적비는 17배가량 차이가 나며 등자뼈와 망치뼈는 1.3배의 큰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난원창에 전달되는 음압은 고막에 전달되는 음압의 약 22배가 되는 샘이다.
달팽이관내 기저섬유는 난원창에서 소공쪽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굵기가 작아져서 강성이 100배 이상 감소한다. 따라서 난원창근처의 기저섬유는 고주파, 소공쪽으로 갈수록 저주파에 잘 공명된다..
코르티기관은 기저막의 표면에 놓여있으며 기저막의 진동에 반응하여 청각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모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유모세포 끝은 덮개막과 닿아있고 따라서 기저막이 진동하면 덮개막과의 사이에 있는 부동섬모가 움직여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므로 청각세포를 자극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된 청각신호는 나선신경절을 통해 뇌의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 비로소 소리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소리는 두뇌에서 그 크고 작고 느리고 빠르고 높고 낮고 등의 정보를 받아서 기억과 패턴으로 측정결과와 비교하여 현상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키워드
|
진동센서, 소음센서, 청각기관, 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