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스프링과 고무패드 (차진재료)
--------------------------------------------------------------------
진동이 심해서 인간이 고통을 호소하거나 건물의 안전 등의 이유로 진동을 줄이고 싶다면 최선의 방법은 물론 진동원인을 찾아서 그 가진력(Enforce)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진동원인 감소 방법을 취할 수 없을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진동의 전달을 줄이는 방법을 택한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차진재료인데 금속스프링, 공기스프링, 고무, 스티로폼, 펠트 류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금속스프링과 고무패드 또는 이 두 가지 재료의 혼합형태라고 할 수 있다.
진동절연(진동전달경로차단)
고무와 스프링은 자동차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차진재료로서 방진효율이 높은 편(80~97%)이므로 건물 내 기계실 , 배관방진, 공장 내 충격기계의 방진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진동을 차단하는 원리는 주로 지지하고 있는 가진원 물체(구조)자체의 고유주파수(Natural frequency)를 변동하여 전달률(전달력/가진력)을 줄이는 방법이며 고무의 경우에는 추가로 진동감쇠의 역할(damping, 가진력 자체의 전달을 감소시키는)을 하는데 사용하고 있고 고주파의 차진에 효과적이며 반면에 대체로 저주파가 많고 빈번한 가동이 적으며 환경이 나쁠수록 금속스프링을 사용한다.
금속스프링 
 | 
고무 
 | |
적용 고유주파수 
 | 
2~10Hz 
 | 
5~100Hz 
 | 
주요 차진주파수 대역 
(고유주파수의 4배이상) 
 | 
저주파, ~40Hz 
 | 
고주파, 20Hz~ 
 | 
내구성 
 | 
고주파에서 파손가능 (단락) 
 | 
내화 O3(오존) 및 기름 등에 부식가능, 내열 50°C이하 
 | 
충격진동 전달률 
 | 
매우 적음, 
그러나 최대변위시는 100% 
 | 
연질재질은 매우적음, 
경질재질은 잘 전달됨. 
 | 
설치상 주의 
 | 
Rocking, Rolling가능성(처짐, 뒤우뚱거림) 
 | 
신장력에 취약 
 | 
기타 참고사항 
 | 
Surging에 주의(스프링 내부공진) 
 | 
내부감쇠역할 있음 
 | 
가동기준용도 
 | 
정상가동기계류 
 | 
빈번 시동 및 정지 기계적합 
 | 
키워드 
 | 
방진, 진동전달률, 고무스프링, 금속스프링, 고유주파수, 차진재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