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로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로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17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17-visope (주파수감쇠, dB%, 펌프BPF, Bw )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의 추출

일반적인 구조물과 같은 다자유도계의 경우, 각 주파수별로 감쇠가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의 정도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진시 주파수 특성을 알 수 있는 FRF그래프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감쇠가 작은 경우 고유진동수의 Peak가 뾰족한 반면, 감쇠가 큰 경우 피크치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6074229748nl


디비와 퍼센트

디비(dB; 데시벨)는 퍼센트와 비교될 만큼 공학적 분야에서는 자주 사용되고 있는 단위이다.이 디비는 특히 소음, 진동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법규에서도 그 한계값으로, 계측기에서도 그 표현값으로 실험에서도 그 검증값으로 쓰임새가 있다.

%와 dB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곳을 예를 들면, 소음진동센서의 특성표에서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7073856962hg


사례요약 4-펌프

설비진동진단사례를 현상에 따라 한눈에 요약하였다. 3

원심펌프 BPF-회전차깃과 디퓨져 사이의 원주방향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때 일반적발생-Wearing이 축에 달라붙음, 다단펌프 자려진동-6단, grand->mechanical씰 교체후 0.8X진동-케이싱-로터 공심가공(틈새유지일정)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5062643194mm


FFT 설정-Sampling 관계식 -bisope

계측제조사는 진동의 실제활용측면에서 이론보다 항상 앞에 서 있다. 따라서 유명한 제조사의 경우에는 각 학풍에 근거하여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것을 같이 표현하고 관계식이 다름이 없다는 것을 정리한다. 이 식으로 샘플링과 그래프의 상관관계를 모두 풀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데이터 샘플링시 관계식을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1018092522904et


#주파수감쇠, #Q값, #고유주파수, #감쇠, #dB%, #디비, #데시벨, #로그, #펌프BPF, #날개주파수, #펌프사례, #펌프진동, #Bw, #Fmax, #최대주파수, #라인수

https://blog.naver.com/vs72

www.kcbm.kr



2025년 2월 9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387-visope (로그그래프, 동적언발란스, 확성기의원리, 연구용진동센서)

 확성기의 원리

확성기를 사용하면 그 곳을 향하여 목소리로 크게 소리지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 곳에서는 분명히 크게 더 잘 들립니다. 수만년건 학습해 온 인류의 과학적 인지? 능력입니다.이와는 반대로 소음기(소리를 줄이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원리가 있는데요. 목소리가 입 밖으로 나가듯,.. 소리의 통로를 '갑자기' 넓히거나 혹은, '갑자기' 좁게 음파를 발사시키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120123600321sy

정적 Imbalance와 동적 Imbalance

정적 언발란스는 힘 언발란스 (Force Unbalance)로 종종 언급된다.

단순한 힘 언발란스는 1면 발란싱 교정으로 고쳐질 수 있다. 마찰이 없는 지지대에서, 하중점은 바닥쪽으로 움직일 것이고, 하중 점으로부터 180°위치에 하나의 무게를 달아서 교정될 수 있다.

정적으로 발란싱된 회전자는 마찰이 없는 지지대의 어떤 위치에서도 정지될 수 있다.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121063612783nd

진동, 소음, 초음파 센서류의 사용도별 분류

​센서는 측정을 위한 것으로 측정용도를 사용처별로 구분한다고 목적에 저해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우선, 제조연구용, 모니터링용, 평가용으로 분류하였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122071021119yi

로그 그래프(Logarithmic scale)

-그래프 간격(Bandwidth)의 비율(지수비율)이 동일한 그래프; 지수의 정비형 특성, 로그척도(logarithmic scale).

-인체의 구분능력과 비교적으로 잘 매칭됨.

-기준값에 대한 현재값을 log화하고 10을 곱한값이 ‘dB’ =10log(현재값/기준값)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121070015228va

#로그, #동적언발란스, #확성기의원리, #연구용센서, #산업용진동센서, #연구용진동, #정적언발란스, #unbalance, #소음기의원리, #log그래프, #임피던스부정합

https://blog.naver.com/vs72

2022년 7월 11일 월요일

데시벨과 로그 (dB, log; 물리적, 진동과 소음의 크기를 표현하는 공학단위)

 데시벨과 로그 (dB, log; 물리적, 진동과 소음의 크기를 표현하는 공학단위)

------------------------------------------------------------------------------------------------------------------------

일반적으로 소음, 진동, 전기 등의 크기를 나타낼 때 ‘dB(데시벨, 디비)’의 단위를 사용한다. 이 것은 기준량에 대한 변화폭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간의 감각과 대체로 잘 맞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자면 dB는 정해진 단위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기준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기 때문이다. 부르는 값도 통상적으로는 소음에서는 ‘데시벨(deci-Bell)’, 진동이나 다른 분야에서는 ‘디비’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벨(Bell)’이라는 사람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 명칭은 단지 대한민국에서 유독 소음만이 적당하다고 여기는 것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Weber-Fechner의 법칙

인간의 감각량(P)의 변화는 '기준자극량(S)'에 대한 그 '변화량'의 비로써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다.



위의 식에서 기본단위는 ‘벨;Bell’로서 , 그 상하 단계가 너무 작은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 상수인 ‘K’에 10을 대입한 ‘dB;데시-벨’ 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면 상하폭을 나타낼 수 있는 표기가 넓어져서 인식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소음과 진동은 주로 인간과 관련되므로 그 느끼는 양인 ‘감각량의 변화’를 레벨화하여 로그의 함수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고 그 크기를 데시벨로 표현하게 된 것이다.

자유음장(free sound field)인 경우에는 위의 식에서 변수S를 음의 세기(Intensity)로 할 수 있으며 이 음의 세기는 음압(Pressure)의 자승과 매칭된다. 즉 우리가 소음계로 측정하는 결과값으로 법규에 적용하여 많이 사용하는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인 경우에는 변수S를 음압으로 했을 경우 K 값을 20으로 대치시킨 것과 같다.

또 이 dB는 단위 뒤에 괄호 첨자를 붙여 추가 연산된(가중된;Weighted) 물리량을 표현하여 구분하는데, dB(A), dB(C), dB(mV), dB(W), 등으로 특히 소음진동분야와 전기분야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데시벨(dB)의 원본인 log(붉은색), 푸른색은 linear-kcbm.kr

데시벨(dB)의 원본인 log(붉은색), 푸른색은 linear-kcbm.kr


Logarithmic과 Linear의 차이

1과 100의 차이는 99이지만, 상용로그로 비교해 본다면 2이다. 물론 큰 값과 작은 값의 차이가 커야 구분하기에도 좋고, 계산하기에도 좋은 것이 아닐까 생각하지만, 그래프로 보면 명확히 그 효용도를 예측할 수 있다. 최고레벨과 최저레벨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말은 log그래프에서는 linear와 달리 낮은 값의 주파수 성분을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진동 스펙트럼 분석에서 작지만 중요한 값의 유무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소음 옥타브 분석과 진동의 FRF에서는 Log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