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Fma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Fma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17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17-visope (주파수감쇠, dB%, 펌프BPF, Bw )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의 추출

일반적인 구조물과 같은 다자유도계의 경우, 각 주파수별로 감쇠가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의 정도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진시 주파수 특성을 알 수 있는 FRF그래프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감쇠가 작은 경우 고유진동수의 Peak가 뾰족한 반면, 감쇠가 큰 경우 피크치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6074229748nl


디비와 퍼센트

디비(dB; 데시벨)는 퍼센트와 비교될 만큼 공학적 분야에서는 자주 사용되고 있는 단위이다.이 디비는 특히 소음, 진동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법규에서도 그 한계값으로, 계측기에서도 그 표현값으로 실험에서도 그 검증값으로 쓰임새가 있다.

%와 dB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곳을 예를 들면, 소음진동센서의 특성표에서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7073856962hg


사례요약 4-펌프

설비진동진단사례를 현상에 따라 한눈에 요약하였다. 3

원심펌프 BPF-회전차깃과 디퓨져 사이의 원주방향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때 일반적발생-Wearing이 축에 달라붙음, 다단펌프 자려진동-6단, grand->mechanical씰 교체후 0.8X진동-케이싱-로터 공심가공(틈새유지일정)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715062643194mm


FFT 설정-Sampling 관계식 -bisope

계측제조사는 진동의 실제활용측면에서 이론보다 항상 앞에 서 있다. 따라서 유명한 제조사의 경우에는 각 학풍에 근거하여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것을 같이 표현하고 관계식이 다름이 없다는 것을 정리한다. 이 식으로 샘플링과 그래프의 상관관계를 모두 풀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데이터 샘플링시 관계식을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1018092522904et


#주파수감쇠, #Q값, #고유주파수, #감쇠, #dB%, #디비, #데시벨, #로그, #펌프BPF, #날개주파수, #펌프사례, #펌프진동, #Bw, #Fmax, #최대주파수, #라인수

https://blog.naver.com/vs72

www.kcbm.kr



2024년 8월 28일 수요일

104 측정시 적정한 주파수의 설정방법진동측정을 위한 최대주파수 설정


2. 계측기특성 및 센서의 종류 및 부착방법파악

-탐침봉일 경우 1000Hz이상 읽는 것은 신뢰할 수 없다.

-단순 자석일 경우 3000Hz이상 읽는 것은 신뢰할 수 없다.

-고주파용 센서의 경우 저주파를 잘 읽어낼 수 없다.

-계측기의 최저주파 Noise한계를 파악해야 한다.

-초저주파(3Hz이하) 측정 알고리즘을 이해하여야 한다.

-저주파는 저주파센서로 측정해야 선명하게 읽을 수 있다.

-저주파 Noise의 경우 케이블의 Noise문제도 파악한다. (케이블이 움직이면 저주파 노이즈가 증가한다.)

-Ski slope 현상을 이해한다.(적분오류로 인해 저주파를 측정할 수 없는 계측기의경우에는 Cut off한다.)

2024년 3월 3일 일요일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161-visope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161-visope

코히어런스 함수(Coherence)

코히어런스는 주로 Modal test에서 완벽하게 사용된다. 입력센서(힘센서)와 출력센서(진동센서)의 각기 출력값이 있을 것이고 그 값들간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출력이 '기여도'라고 볼 수 있다. 즉, 그 결과량이 ‘0’이면 Input(가진)과 output(응답)이 전혀 상관성이 없으며, 결과량이 '1'인 경우, 가진과 응답이 100% 상관성이 있는 선형관계라고 설명하는 것이 바로 기여도함수(상관성함수, Coherence)이다.

기여도함수의 결과가 ‘0’에 가까운 상태는 잡음이 혼합된 경우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기적 진동 또는 노이즈의 유입이다. 유체기인진동 또는 다른 장소의 가진원(vibration source)에서 유입된 신호일 경우가 여기에서는 이러한 노이즈에 해당된다. 따라서 시험을 할 때 좋은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221081338529vn

주파수 설정(최대주파수 Fmax와Sampling주파수)

진동측정을 위한 주파수 설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최대주파수(Fmax)를 설정하면 된다. 이 것은 스펙트럼 그래프의 가로축 최고 주파수를 의미한다. 과거의 고급FFT 종류에서는 이 것을 샘플링주파수(Sampling frequency, Sampling rate)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것은 진동계측기에서는 보통 Fmax의 2배에 해당한다. 정확하게는 2.56배이지만 2배로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샘플링 주파수를 묻는다면 최대주파수는 2로 나눠주면 된다. 그러나 설정값을 넣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Fmax를 1000Hz으로 맞춘다면 무엇을 볼 수 있을까?' 를 미리 생각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아래참조.

즉, 다음의 사항을 파악한 다음 최대주파수를 정한다. 무엇보다도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확인해야 하는 주파수군이 화면의 중앙에 보이도록 측정 및 배치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1. 기계의 제원파악

-원동기(drive component)의 회전수(모터의 pole 수, 전기주파수, 터빈의 Blade수, Sleeveor Rolling 베어링, 기타 회전요소)

-Sleeve 베어링은 저주파를 잘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피동 driven component의 회전 이벤트 정보(Blade수, Vane수,Sleeve or Rolling 베어링, 기어의 단과 잇수, 기타 회전요소)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0905120549028qb

수송기계 (For transfer and moving)

-공장에 설치된 대부분의 회전기계설비

-모터, 펌프, 팬, 압축기, 발전기, 롤, 공작기계, 로봇 등

-장기간 작동상태 유지(정속회전), 다양한 생산공정 기동/정지머신(가변속운전)이 공존

-기계 자체를 주로 피해대상(수명감축)으로 감안함.

-중요도: 생산가능>기계수명>유지보수>안전

-노이즈: 근처의 설비들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이산주파수와 유체기계의 광대역주파수가 혼재

-고정방식: 강지지방식(rigid),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223075322537vc

생활소음 심층분석

​우리의 귀는 소음센서이고 머리는 계측기라고 합시다. 지금 방구석 여기저기서 들리는 소리를 한 번 분석해 봅니다.

​제일 먼저 텔레비전, 오디오, 청소기, 전자레인지, 주방의 후드팬 소리, 옆집소리, 피아노, 씽크물소리 들은 이미 알고 있고 의도할 때에만 발생하는 주요 소음들입니다. 가장 크고 불규칙적이지만 예상할 수 있으며 분석하기보다는 이미 알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시끄러우면 끄면 됩니다. 그러면 이제 이 것들을 제거해 본 후 또 분석해 봅니다. 그러면 어떤 소리가 들릴까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104071531193ed

#코히어런스, #기여도함수, #생활소음분석, #소음원인, #건물진동, #최대주파수, #진동자격증, #Fmax, #수송기계, #철도진동, #자동차진동, #모달테스트, #한국cbm, #bis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