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무향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무향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31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27-visope (주파수이론, 잔향실, 이완진동, AI기억력)

 

위치이론(Place theory), 주기이론(Periodicity theory)

사람이 주파수를 인식하게 되는 이유로 2가지의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첫째로, 저주파수대역은 내이쪽이, 고주파수대역은 helicotrema쪽의 기저막에 연결된 섬모세포에서 감지되어 분리된 후, 뇌에 전달한다는 ‘위치이론(Von Bekesy)'과,둘째로, 청각신경을 통해 전달되는 임펄스들의 시간적 분포가 분해(encording)되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820072805403xa



무향실, 잔향실

'무향, 잔향'= >향기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클린룸만 만들면 돼서 그리 큰 필요성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혹시 음향? 소리가 없는 또는 소리가 남아 있는?공학은 인간에게 필요가 없다면 거의 발전되기 어렵다. 그런데 파동공학, 동역학은 아주 필요한 공학에 속한다. 인간이 짜증내 하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821073953096up



기계적이완 (Looseness)의 원인과 종류

Mechanical Looseness는 부적절한 조립, 부식, 기초 및 base의 손상, 부러짐 등이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그리고 Mechanical Looseness는 다음의 2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1. 구조적인 이완(Structural Looseness):-바닥의 지지(base mount), 파이프(pipe support), 케이싱 크랙(split casings), 베어링하우징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819072940534ed



AI가 인간을 닮으려….

이 모든 출발은 ‘자연’입니다. 인간은 자연을 읽으려 수학을 시작합니다. 인간은 불편함이 귀찮아서, 위험해서 안전을 지키려고 공학을 만들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계(機械)를 만듭니다. 글자자체도 복잡합니다. 로봇이 개발되면 될수록 인간의 일은 줄어들 것이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또 인공지능이 고도화 될수록 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822072931941cb



#주파수이론, #잔향실, #이완진동, #AI기억력, #위치이론, #주기이론, #주파수, #주파수감지, #Hz, #무향실, #음향파워, #음의세기, #음압, #기계적이완, #looseness



https://blog.naver.com/vs72



2024년 2월 25일 일요일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157-visope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157-visope


 기타 기능

주파수와 주기(시간), 파장과 전파속도

시간에 따라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하 반복하는 움직임을 파동이라 하며 공기 중에 음압으로 반복되는 파동이 귀 고막을 움직여 그 크기가 공해로 판단된다면 소음이라고 한다. 즉, 수평축(x축)이 시간으로 나타나는 그래프를 시간파형(waveform) 이라고 하며 한 번 반복하는 시간을 주기(Period, Cycle, τ)라 한다.

또한 파형이 1번 반복하는 거리를 파장(Wave length, λ)라고 하며 이 파장이 전파되는 속도를 전파속도(wave speed, velocity, v)라고 한다.

한편, 이때 반복하는 시간이 아닌, 1초당 반복회수로 단위를 역변환 할 수 있는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214100058803uu


진동센서(Vibration Transducer)의 감도

진동센서는 대체적으로 감도가 좋을수록(높을수록) 저주파진동의 취득, 측정이 좋고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싼 대신에 고주파 측정은 선형성이 좋지 못하다. 반면에 감도가 낮을수록 동적범위(Dynamic range)가 크고 센서의 크기가 작고 매우 고주파까지 선형성(Linearity)이 좋은 편이다.

여기서 '감도(Sensitivyty)'는 센서의 최대진폭측정능력(동적범위)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5V의 출력을 가지는 센서이고 감도가 100mV/g라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213103732973ce

Gear box의 내외부 진동원인들...

모든 Gear Box는 다른 기계들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Gear 자체의 문제점도 있는데 예를들어 Pitch Line이 맞지 않거나 편심, Tooth간간격의 불일치 등으로 Gear 진동이 발생하고 있다. Gearbox자체의 내부적 결함과 GearBox에 영향을 주는 외부결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1212090051303pz


무향실

있습니다. 그런 방!

그 것은 ‘무향실(Anechoic room)’이라고 하는 실험실입니다. 향기가 나지 않는 방이라는 뜻이 아니고 ‘음향’, 소리가 나지 않는 방으로 이해하시면 편하시겠네요.

이 무향실이라는 실험실은 사실 소리를 차단하기도 하였지만 가장 중요한 원리는 소리가 반사되지 않게 하는 것이 최대 강점인 실험실이랍니다.

일단, 실내를 살펴보면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216073503760ca

#무향실, #배경소음, #흡음율, #파장, #공진, #주기, #주파수, #기어박스, #기어진동, #베어링진동, #진동교육, #음속, #감도, #진동센서, #피에조, #최대주파수, #샘플링

https://blog.naver.com/vs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