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진동자격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진동자격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21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42-visope (로터결함모음, 베어링이완, 18436진동자격예상, 센서감도)

 

로터의 결함에 의한 회전기계의 이상진동과 대책

로터에 관련된 결함들은 대체로 운전속도 주파수(1X TS) 에서 높은 진동을 보인다. 이 결함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표는 로터결함에 대한 진동현상과 그 대책을 정리해 놓은 자료로서 참조하기 바란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04081954811ww



베어링결함과 기계적이완의 차이점

아래의 그림 중에서 베어링 결함주파수를 스펙트럼으로 확인해 보면(좌측) 기본적으로 베어링의 고유주파수에 큰 영향을 받으며 베어링 구성요소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Stress wave(매우 작은 충격인 응력파)를 확인하므로 고주파에서 우선 관찰된다. 또한 베어링의 구성요소가 이완되고 충격력이 더욱 심해지면서 1X RPM의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04083450193rh



ISO18436-2 진동분석가 자격시험 예상문제 - 실전문제 1-7

1-2. 다음 중 자려진동(self exciting)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기어의 화인소음 및 진동

② 팬터그라프 가선의 이선현상

③ 비행기 날개의 flutter

④ 펌프 베어링진동

⑤ 캠형상에 따른 밸브진동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829082103380vi



ISO18436-2 진동분석가 자격시험 예상문제 - 실전문제 2-8

2. 다음의 예문에 괄호에 해당하는 A는 무엇인가?

진동센서는 대체적으로 ( A )가 좋을수록(높을수록) 저주파 진동의 취득측정이 좋고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고 대신에 고주파 측정은 선형성이 좋지 못하다. 반면에 ( A )가 낮을수록 동적범위(Dynamic range)가 크고 센서의 크기가 작고 매우 고주파까지 선형성(Linearity)이 좋은 편이다. 여기서 ( A )은/는 센서의 최대진폭측정능력(동적범위)과도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5V의 출력을 가지는 센서이고 ( A )가 100mV/g라면 50g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

① Sensitivity

② Frequency range

③ Overall

④ Linearity

⑤ Sampling rate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04160733394ud



#로터결함모음, #베어링이완, #18436진동자격예상, #센서감도, #축결함, #shaft진동, #베어링진동, #looseness진동, #진동자격시험, #설비진단, #자려진동, #샘플링


https://blog.naver.com/vs72



2024년 5월 6일 월요일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204-visope​

 진동소음지식 컨텐츠 프리미엄 204-visope​

7.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진동 레벨

② 진동 속도

③ 진동 변위

④ 진동수

⑤ 진동 가속도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502081403668tp

Misalignment의 특성

축 방향의 높은 진동 레벨

1X, 2X, 3X, 4X 또는 고차 배수에서 반경 방향의 높은 진동

커플링을 따라서 축과 반경 방향의 180° 위상차

회전 당 1, 2, 3 또는 4개의 선명한 피크를 갖는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시간 파형

베어링의 과도한 온도

베어링의 조기 결함

커플링의 결함

밀봉점에서의 오일 유출

커플링 커버상의 과도한 양의 그리스

축의 파손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429054301250qc

배관유체진동-펌프

서징(surging)은 송풍기와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펌프에서도 발생한다.

펌프는 공기유체기계와 달리 배관계에 공기와 가스가 공존하는 탱크가 있다는 것과 그 탱크 하부에 유량조절밸브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서징이 발생한다. 이를 대비하여 항상 열교환기 등의 잔류공기를 제거하고 시운전하는 대책이 있다.

고압펌프를 낮은 유량에서 운전할 때 흡입측에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도 없고 성능곡선도 항상 오른쪽으로 감소하는 안정영역이라 할지라도 서징과 유사한 맥동현상이 발생할 때 이 것을 동적불안정의 맥동현상(pulsation)이라 한다. 이 것은 주파수 영역에 마침 배관계의 고유한 '음향 고유진동수'가 있으면 압력맥동이 자려적(self exciting)으로 증가하여 큰 배관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이때에는 정격유량을 30%로 운전하여야 맥동을 비로소 피할 수 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422081428884ii

위상의 측정방법

위상은 ‘기준에 대한 비교각도’를 의미한다. 그래서 위상을 위상차라고도 한다. 각도는 원(circle)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degree(°)또는 radian(π)으로 기록한다.

위상은 측정결과의 목적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절대위상과 상대위상이 그 것이다.

먼저 절대위상을 설명해 보면,

회전기계는 원을 그대로 구현하였다 볼 수 있으므로 회전하는 축에 달린 어떤 반사판 혹은 돌출된 도체, 기어이빨의 반복여부를 인식하여 회전당 펄스(pulse)를 구하여 회전수(rpm)를 측정한다. Tachometer, key phasor, encoder 등으로 부르는 센서를 통해 이 펄스를 읽는 기준위치를 '0°으로 하는데 이 기준위치와 비교하여 측정된 다른 파형(진동, 전기, 또는 다른 물리량)의 피크(peak)의 각도로 설명한 위치를 위상각, 위상차, 위상이라 하는 것이다. 즉, 절대위상은 회전센서의 기준점과의 위치를 비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위상차이’를 위상이라고 혼용하기도 한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0919073345787fk

#18436, #진동자격시험, #진동시험 모의고사, #축정렬불량, #위상, #phase, #진동위상, #2채널진동분석, #진동분석가, #배관진동, #펌프진동, #베어링진동, #위상분석, #설비진단, #진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