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tenance의 분류(사후보전, 예방보전, 예지보전)
-------------------------------------------------------------------
기업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세부의 분야가 범주의 목적에 속해있어야만 업무로 진행할 수 있다. 메인트넌스(Maintenance, 보전)는 설비의 가동수명을 늘리는 엔지니어링으로 상위적인 개념의 보수(Repair)로 불리기도 한다. 메인트넌스는 자산모니터링(Asset monitoring)을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기업의 이윤을 늘리는 매우 중요한 프로세스로서 초기시설투자는 크게 줄고, 인력은 최소화 및 노령화가 되는 현실에서 보면 기존설비의 최장, 최적운용이 제 2의 이익창출이 되는 것이다
.
Maintenance (보전 엔지니어링)
정비(maintenance)는 설비를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 항상 유지하고, 고장(Failure)이나 결함(Fault) 등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 및 활동을 말한다. 이 중에서 예방과 사후, 그리고 시간계획보전(TBM)과 상태감시예지보전(PdM)에 대해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예방 정비(Preventive maintenance PM) - 설비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수행
사후 정비(Breakdown maintenance BM) – 고장발생 후에 설비를 정상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해 수행
예방 정비(Preventive maintenance PM)의 분류
시간기반정비(Time Based Maintenance TBM) – 가동 시간 등을 기초로 정비,시간계획정비(Time Scheduled Maintenance)라고도 한다. (예방 정비 간격)
▪보수 후의 설비 가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장률이 상승한다.
▪과잉정비(Over Maintenance)가 될 확률이 높다.
▪정기 보수를 위한 설비 정지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된다.
상태기반정비(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 – 설비상태를 기초로 정비, 예지 정비 (Predictive Maintenance PdM)라고도 한다. (ISO13372:2004)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보수가 아니고 운전 중의 상태감시이며, 보수는 상태감시 결과 열화가 진행되었다고 판단될 때 수행된다.
▪정기적인 상태 감시에 의해 열화가 진행되지 않다고 판단된 설비는 그대로 운전이 지속된다.
그러나 위의 두 가지 예방정비는 어느 것이 반드시 좋아서 한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병행하여 서로의 취약점을 맞추어야만 사후정비를 수행하지 않는 진정한 예방정비를 할 수 있다고 하겠다.
키워드 | PDM, 예지보전, 메인트넌스. 설비보전, 예방보전, maintenance, repair, 정비 |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