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Pd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Pd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6월 1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465-visope (충격중심, 상대위상, 모터터빈, pdm예지보전)

 

질량중심은 충격중심과 달라요.

질량중심은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질량(가속도에 대한 저항)을 한 점으로 표현하는 중심점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점에 지지하면 떨어지거나 움직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모두 알고 있는 그 곳입니다. 무게중심입니다. 손까락 하나로 받치고 있으면 움직이지 않는 그 점입니다. 이와는 달리 충격중심은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09072429856nr



Cross channel phase(상대위상)의 활용

상대위상을 활용한 그 유용한 사용용도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계의 베어링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신호(진폭과 위상)를 측정하면 거동의 상태 및 가능한 공진(resonance)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위상분석을 위하여 tach신호가 필요없이 진동센서들로 추출하므로 더 편리하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13120242201eb



모터(Motor)와 터빈(Turbine)

-전기를 동력으로 회전하는 원동기-세상에서 가장 수량이 많은 형식의 원동기, 회전기계요소,-종류: AC유도모터, DC모터, 동기모터, 리니어모터, 서보모터 등-구성요소: 회전자, 고정자, 브러쉬(DC), 베어링, 환기팬-주로 잦은 기동에 사용, 비교적 저속 회전, 구름베어링을 채용-부속장치 없음-이동식 배치 쉬운편.-다양한 회전수로 변동, 다양한 크기 및 종류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07091048724pp



Predictive maintenance(PdM)

공장 내에는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설비가 나란히 설치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중에서 몇 개 또는 한 개의 설비만 가동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절대로 이 설비의 기능이 지속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런 스페어설비(Alternative machine)는 본 설비가 언제 고장이 나서 수억~수백억의 생산손실을 초래할지 모른다는 방지책의 일환인 것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08083321252zj



#충격중심, #상대위상, #모터터빈, #pdm, #예지보전, #위상분석, #질량중심, #진동중심, #공을 정확히 맞추기, #야구, #골프, #예방조번, #진동분석, #상호채널, #cross channel

https://blog.naver.com/vs72

2025년 4월 20일 일요일

(주간)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437-visope (PdM, misalignment,기어용어, 18436진동분석가)

 

Misalignment의 현상

Misalignment(축정렬불량)은 조립이 불량하여 진동의 주요 원인이 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것이 원인인 진동을 줄이려면 구동부의 축(Shaft)와 피동부의 축간에는 일직선을 이루는 정렬작업을 거친 다음에 회전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것이 잘 되지 않는 축정렬불량상태는 불완전한 질량의 집중상태를 발생하여 한 부분의 응력집중과 진동의 이벤트를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408072010685lq



CBM과 PdM의 목적은 ‘위험의 예방과 이익의 창출’이다.

유지보수, 정비(maintenance)는 설비를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 항상유지하고, 고장(Failure)이나 결함(Fault) 등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 및 활동이므로 계획도 포함하기 때문에 Repair(수리)와 구분한다. 그래서 이 활동을 가장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진프로세스로서 CBM과 PdM이 있는데 이 두 가지 기법의 차이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409081851182mo



기어관련 용어

다음에서 정리하는 용어들은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번역으로 인한 차이만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우선, 일반적인 기어박스 안에는 항상 작은 기어와 큰 기어가 존재한다. 감속 및 증속의 차이는 이 기어들의 배치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이 두개의 기어에서 작은 것은 'Pinion'이라하고 큰 것을 'Gear'라고 한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410075649949tq



18436 진동분석가 자격 예상문제

5-12, 2. 다음 중 커플링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기어박스

② 벨트 및 체인

③ 직결 플랜지커플링

④ 기어커플링

⑤ rubber커플링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417082641776ba



#18436, #커플링, #축정렬불량, #진동자격증, #misalignment, #기어용어, #백래시, #backlach, #방진커플링, #직결커플링, #CBM, #PdM, #예지보전, #predictive

https://blog.naver.com/vs72

2024년 4월 3일 수요일

BISOPE series 58 Motor related electrical and vibration diagnostic terms


BISOPE series 58- Motor-related electrical and vibration diagnostic terms

-------------------------------------------------------------------------------------------------------------

In order to diagnose motors (electric motors), you must understan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motor, but first you must know the corresponding terminology. If you cannot understand the terminology used by motor experts and public affairs and maintenance teams (electrical, relay, mechanical), you will inevitably have poor data for important analysis. Then comes the diagnosis. Of course, there are diagnostic terms, but it can be said to be the same way a doctor learns basic anatomy and learns medical terminology first. Here, motor-related electrical terms and terms for vibration diagnosis are defined.

Motor terminology

 

number of revolutions

It is the degree of rotation speed and is expressed as RPM (Revolution Per Minute).

 

Torque

It refers to rotational force and is expressed as kgfm or Nm.

 

Inertia

It refers to the property of an object to maintain its state of motion unless an external force acts on it.

https://blog.naver.com/vs72

#PDM, #predictive maintenance, #equipment diagnosis, #vibration, #machine diagnosis, #vibration analysis, #vibration defect, #condition diagnosis, #CBM, #machine condition and vibration

#Vibration measurement, #resonance measurement, #resonance analysis, #vibration diagnosis, #vibration noise problem, #vibration noise education, #vibration noise monitoring, #vibration law, #vibration sensor, #noise sensor, #3-axis vibration sensor, #wireless Vibration monitoring, #CBM diagnostic monitoring, #railway vibration, #building vibration, #bridge vibration, #bearing vibration, #gear vibration diagnosis


2023년 10월 31일 화요일

설비진단 진동전문가 자격증 (ISO 18436-2)

설비진단 진동전문가 자격증 (ISO 18436-2)

-------------------------------------------------------------------------------------

진동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기계가 아픈 곳을 추정하는 방법인 설비진단기술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자격을 취득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많은 간접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다과거 및 현재에도 설비진단에 관련된 검사 및 관리도구인 진동 계측기를 제조하는 제조사를 중심으로 전문기술교육과정이 있었다그 전문성이 매우 높고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ISO과 ASNT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을 세분화하고 각 분야에 전문가의 인증을 위한 자격제도를 창출하였다대체로 4등급(4등급으로 갈수록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가)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당분야의 경력자가 공인된 훈련기관에서 일정기간 교육을 수료하였을 경우에 비로소 시험과정을 통해서 자격증(License)을 발급받을 수 있다대체로 하급과정의 자격증을 보유하여야 상급과정에 대한 시험을 볼 수 있는 제도이다.


ISO18436-2
(
회전기계의 상태감시 및 진단관련규격을 위한 진단기술자의 자격인증제도에 관한 규격-진동분야)

유수한 설비진단 훈련 및 자격발행 및 인증기관은 미국의 Vibration Institute, TAC, Emerson, ASNT, Mobius가 있으며 미국은 ANSI에서 인정하고 있다일본은 일본기계학회에서영국에서는 영국비파괴연구소의 인정을 받은 RMS , 호주 및 싱가포르 등 전세계적으로 인증기관(Accredited Training Organization (ATO) and Approved Examination Centre (ATC))으로부터 자격이 발행되고 있다이는 자국 내에서도 활용되지만 해외에서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국제자격증이다국내에서는 소음진동공학회 산하 설비진단자격인증원()’에서 훈련기관의 인정과 시험과 자격증 발행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가인정기구(Korea Accreditation Board)로 부터 인정받고 있다.


 자격증 실전 예상문제--->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





국내에는 2007년부터 시작하여 2015년 현재 약 1200여명의 자격보유자가 있으며 국가자격증과는 아직 동등하지 않지만 공공기업에 입찰제한에 자격보유자 유무인원등급을 정하는 등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중이다자격증은 5년마다 갱신이 필요하며 동일업종에서 이탈될 경우재발행이 불가하다현재 자격시험 응시자와 보유자가 계속 증가추세이고 설비관리 및 전문분야에서 실제로 현업에 필요한 지식을 쌓을 수 있고 분명 즉시 해외에서 통용되는 자격증이므로 미래는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5월, 11월 시험).


자격증 실전 예상문제--->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




키워드

PDM, 예지보전설비진단진동자격기계진단설비진단자격, ISO18436, 진동분석

 

 

2023년 5월 1일 월요일

(교육) 진동소음모니터링(Vibration, noise, monitoring) 실무교육

(교육) 진동소음모니터링(Vibration, noise, monitoring) 실무교육

-------------------------------------------------------------------------------------------

진동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측정, 공진, 현장분석 및 연구개발 분야에서 근무하고 계신 여러분!

1.진동소음 문제로 고민이다. 직접 해결하기 어렵다. 옆에서 같이 고민해 줄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2.진동 측정시스템 및 진동소음 진단장비 선택 등을 하고 싶다. 옆에서 물어볼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3.지속적인 진동교육과 우리 회사에 예측진단/진동 분석체계를 갖추고 싶으나 방법을 잘 모르겠다.

4.교육 받으러 갈 시간이 없다. 우리 회사 현장에서 우리 기계(설비)로 하는 실무진동교육이 필요하다.

https://blog.naver.com/vs72



진동소음-현장교육, 방문교육, 맞춤교육-kcbm.kr

한국CBM의 (Training Service)는 아래와 같은 교육커리큘럼이 있습니다.

1. 진동이론교육 (ISO level 1, 2자격과정)

2. 모달해석+공진 교육(EMA)

3. CAE해석교육(진동, 소음, 응력)

4. 소음이론 및 실무교육 (소음지도)

5. 소음측정 및 소음법규관련교육

6. 진동측정 및 진동평가관련교육

7. ODS실무교육

8. 최신 설비진단 기술교육

9. 설비진단 진동결과보고서 교육

10. 준전문가 양성목표(ISO level2+)

11. 현장 실습교육(생산장비대상)

12. 사례교육 (Skill up)

13. PDM을 위한 장비선정 기술교육

14. 측정 장비사용교육(offline)

15. 모니터링시스템 관련교육(기술체계, 알람체계, 파라미터체계, 중요성능 등)

16. 소음대책엔지니어링

17. 진동대책엔지니어링

18. 실무 회전체 동력학(Rotor dynamics)

19. 음향방출(Acoustic emmission) 진단, 초음파교육

세부적인 진동(설비진단)의 개념에 대한 사항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진동단위의 선정과 활용(주단위와 보조단위의 이해 주파수와 각 단위의 용도를 알고 있어야 한다.)

- 진동 위상 측정법 (위상은 매우 중요한 결함을 판단하는 증거자료나 교정자료로 활용된다.)

- 고유 진동수 측정과 축의 위험 속도 이해 (진동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인의 동력학 이해)

- 진동 센서의 선정과 사용법 (센서를 잘 선정해야 함)

- 센서 설치 방법과 진동 데이터 취득 (센서를 잘 설치하고 계측기를 적절히 설정해야 함)

- FFT 개념과 Spectrum 분석(주파수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함)

- Rotor Dynamic 이해와 축 진동(회전체 동력학을 알고 그래프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

- Bump Test, Modal Test 이해와 응용법(동특성을 추출하는 방법)

- 질량 불평형의 원인과 진단법

- 축정렬 불량의 원인과 진단법

- Mechanical Looseness 원인과 진단법

- Bearing(Rolling, Sleeve) 의 결함 원인과 진단법

- Gear 및 Belt 진동의 원인과 진단법

- Motor의 원리와 진동 진단법

- Fan, Pump, Compressor의 구조와 동작 이해 및 진단법

- 위험도 평가와 진동 규격 이해

- 설비 교정 원리 이해 (발란싱, 얼라인먼트)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

키워드

#진동교육, #진동계측기, #진동컨설팅, #진동진단, #설비진단, #Pdm, #예측진단,#진동교육, #진동기초, #모달테스트, #공진분석, #진동원리, #진동센서, #진동측정, #진동분석,#스펙트럼, #공진분석, #진동모니터링, #공진측정, #주파수분석, #FFT, #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