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메인트넌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메인트넌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7월 6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488-visope (소음진동민원, 귀고막, 메인트넌스,full spectrum)

 소음진동 고통을 호소하는 방법

소음과 진동에 관련해서 고통스러웠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겁니다. 이 때 사람들이 가장 많이 취하는 방법은 아마도 피해버리는 것일 겁니다. 성격에 따라 다를 테지만… 아무튼 피한다는 것은 귀마개를 하거나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도 비슷한 방법에 속한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만약 피하지도 못한다면 어찌해야 할까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30081409053nb


귀와 소음진동센서

인간의 귓바퀴의 외이도(귓구멍)는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며 전달된 소리에너지는 고막을 통해 소리의 공기 중 압력변동을 ‘진동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것은 마치 마이크로폰(소음센서)의 원리와 같다. 고막과 달팽이관 사이에 망치뼈, 모두뼈, 등자뼈가 공기중의 진동에너지를 달팽이관 속의 기저막에 진동시키도록 증폭시켜..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604070606819sc

-설비나 시스템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취하는 계획 및 개선활동- 사후보전(고장 후 취하는 활동과 대책), 예방보전(고장 전에 취하는 계획활동),

예지보전(고장을 예측하기 위한 측정과 진단)-목표는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것

-Engineer의 영역-시스템의 수명연장과 고장감소는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605071939406qi


Full Spectrum Analysis

스펙트럼은 주파수그래프를 의미한다. 그런데 ‘Full Spectrum’은 또 무엇인가? 이 것은 X축을 이루는 주파수(Hz)가 양의 값(+)값 이외에 음의 값(-)이 같이 표현되는 스펙트럼 그래프를 말한다.원래 의미는 FFT연산시 복소수로 된 값 의 허수 중에서 중복되므로 음의 값은 제거해 버렸는데 이를 다른 방향의 센서에서 들어오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513121945507nj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

기계설비의 유지보수시점을 결정하는 전제조건

기계설비의 유지보수시점을 결정하는 전제조건
-------------------------------------------------------------------------------------
유지보수(Maintenance)로 번역되는 용어는 수리(Repair)와는 다르다. Repair를 하기 위한 계획절차와 시스템을 포함하기 이전에 Maintenance Repair를 하지 않기 위한 엔지니어링 절차이다약간 의미가 모호하게 들릴 수 있지만 협의의 Maintenance는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PdM)에서는 설비의 수명을 늘려 신뢰성(Reli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수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이는 광의의 Maintenance에 관한 시스템(인력기술계획교육절차 등)이 잘 되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보수시점의 결정
아무리 Maintenance시스템이 잘되어 있어도 언젠가 수리(Repair)는 필요할 것이다불가피한 돌발사고 및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태모니터링(Condition monitoring)시스템도 장착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정밀진단 및 고도의 기술진이 배치되어 있어도 경고주의(Warning, Alarm)신호를 줄 뿐유지보수 시점을 결정하지 않는다다만 Trip신호를 발생하여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강제정지시스템이 최종절차이다.  결국수리시점의 결정은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다시스템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스템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전제조건 중에 사람이 판단하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결정을 위한 전제조건
1.     상태신호가 현재 비정상일 것(비정상 Trend 확인), 과거의 상대비교
2.     동종설비에 비교하여 비정상일 것(상호비교)
3.     절대기준에 적용하여 정상이 아닐 것(ISO, 성문기준참조기준제조사기준당사기준 등)
4.     관계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일 것(전문가 진단기술적인 분석통계자료주원인의 파악)
5.     최종결정을 위한 판단(경제성과 안전을 고려한 시점의 결정대책의 결정)

사람의 시스템은 종합적이고 다양한 메커니즘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한 결정을 복잡한 전제조건을 통해 내릴 수 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그 것은 책임이다사람처럼 본인이나 가족에 의해 판단결정을 내려 책임지기에는 기계시스템의 정지는 매우 큰 책임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

키워드
Repair, Maintenance, PdM, 예지보전메인트넌스모니터링, CMS, VMS, 온라인 모니터링시스템진동모니터링


2016년 6월 29일 수요일

설비의 유지보수시기를 결정하는 메커니즘

설비의 유지보수시기를 결정하는 메커니즘

-------------------------------------------------------------------------------------

유지보수(Maintenance)로 번역되는 용어는 수리(Repair)와는 다르다. Repair를 하기 위한 계획절차와 시스템을 포함하기 이전에 Maintenance Repair를 하지 않기 위한 엔지니어링 절차이다. 약간 의미가 모호하게 들릴 수 있지만 협의의 Maintenance는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PdM)에서는 설비의 수명을 늘려 신뢰성(Reli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수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이는 광의의 Maintenance에 관한 시스템(인력, 기술, 계획, 교육, 절차 등)이 잘 되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보수시점의 결정

아무리 Maintenance시스템이 잘되어 있어도 언젠가 수리(Repair)는 필요할 것이다. 불가피한 돌발사고 및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태모니터링(Condition monitoring)시스템도 장착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정밀진단 및 고도의 기술진이 배치되어 있어도 경고, 주의(Warning, Alarm)신호를 줄 뿐, 유지보수 시점을 결정하지 않는다. 다만 Trip신호를 발생하여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강제정지시스템이 최종절차이다.  결국, 수리시점의 결정은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다. 시스템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스템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전제조건 중에 사람이 판단하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결정을 위한 전제조건

1.     상태신호가 현재 비정상일 것(비정상 Trend 확인), 과거의 상대비교

2.     동종설비에 비교하여 비정상일 것(상호비교)
 
3.     절대기준에 적용하여 정상이 아닐 것(ISO, 성문기준, 참조기준, 제조사기준, 당사기준 등)

4.     관계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일 것(전문가 진단, 기술적인 분석, 통계자료, 주원인의 파악)

5.     최종결정을 위한 판단(경제성과 안전을 고려한 시점의 결정, 대책의 결정)

사람의 시스템은 종합적이고 다양한 메커니즘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한 결정을 복잡한 전제조건을 통해 내릴 수 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 그 것은 책임이다. 사람처럼 본인이나 가족에 의해 판단결정을 내려 책임지기에는 기계시스템의 정지는 매우 큰 책임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

키워드
Repair, Maintenance, PdM, 예지보전, 메인트넌스, 모니터링, CMS, VMS, 온라인 모니터링시스템, 진동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