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tren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ren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7월 2일 수요일

125 경향과 시간파형trend와 waveform




동영상 125-경향과 시간파형(trend와 waveform)


추이그래프(경향그래프)

trend 장기간 추이에 따른 변화량의 크기를 표현한 그래프

-Time history=경향그래프=트렌드선도

-설비관리담당자가 가장 쉽게 접근하여 파악하는 경향그래프

-직관적이고 추이관리에 쉬운


시간파형데이타 waveform

용도: 임펄스의 관찰, 충격파와 정현파의 구별, 맥동파확인, 비대칭파 확인, 저주파측정, 주기파확인, 위상차확인에 장점.

*참고: 진동소음 3대 그래프: Waveform과 Spectrum 그리고 trend그래프


https://blog.naver.com/vs72

#추이곡선, #경향그래프, #trend, #waveform, #timewave, #time history, #진동추이곡선, #진동모니터링, #진동그래프, #스펙트럼, #RAW data, #원본데이타, #시간데이타, #원본데이타, #진동데이타



2024년 10월 6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305-visope (방진,ISO진동자격18436, 위상,진동3대그래프)

 ISO18436-2 진동분석가 자격시험 예상문제 - 실전문제 6-2

문제-6-2

--------------------------------------------------------------------------------------------------------------------------

1-1. 다음 중 방진고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자체감쇠기능이 금속스프링보다 100배 이상 크다.

② 설치비용, 경제성, 형상변경, 설치방법에서 금속스프링보다 우수하다.

③ O3, 오존 산화하며, 섭씨50도 이하에 주로 사용한다.

④ 고유주파수를 2Hz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⑤ 저주파 차진에 우수하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924081732347kc

진동에서의 위상(phase)

-현재값의 회전상(Degree, radian) 좌표

-기준점에 대한 각도상의 위치

-주로 최대 진폭의 위치로 활용

-절대위상(A)과 상대위상(R)으로 구분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0927071558994lx

위상의 측정방법

위상은 ‘기준에 대한 비교각도’를 의미한다. 그래서 위상을 위상차라고도 한다. 각도는 원(circle)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degree(°)또는 radian(π)으로 기록한다.

위상은 측정결과의 목적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절대위상과 상대위상이 그 것이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0919073345787fk

진동의 기본적인 3대 그래프(Waveform, Spectrum, Trend)

진동의 최초 기본적인 그래프는 당연히 시간파형(Waveform; Timewave)이다. 시간파형을 통해서 패턴과 현상을 구분한다. 과거의 문제를 해결한 방법이고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할 수 있는 진동파형 그 자체이다. 복잡하지만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완전히 이해하려면, FFT를 이용해서,,,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0927110245691vz

#스펙트럼, #방진고무, #고유주파수, #진동제어, #방진, #스펙트럼, #spectrum, #trend, #18436, #진동시험, #진동자격, #위상, #phase, #진폭, #상대위상, #절대위상

https://blog.naver.com/vs72

2022년 8월 17일 수요일

42 정재파와 맥동음Beat음 파동의 간섭


정재파와 맥동음(Beat)음 (파동의 간섭)

음(Sound)은 파동의 현상 중의 하나로서 음향파워(sound power)를 발생하는 음원(sound source)에서 발생하여 일정한 음의 세기(sound intensity)를 가지며, 발산하여 감쇠하여 소멸된다. 이 때 음은 운동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 변형되기도 하며, 흡수, 반사의 특성을 보인다. 한편, 음은 또한 다른 파장의 음과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때 보강, 소멸 등을 일으켜 파동임을 증명하기도 한다.

정재파(Standing Wave)

음의 진행파와 반사파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보기에(위치를 이동하면서 측정해 보면) 마치 움직이지 않고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파를 말한다. 정재파는 λ/4의 간격으로 높고 낮은 반복의 특성을 보이며, 반사면을 수평이 되지 않도록 수정하거나 반사면에 흡음재를 설치하면 방지할 수 있다.

맥동음, 맥놀이현상 (Beat ,Modulation)

파장의 간섭은 위상(Phase)에 따라 보강간섭, 소멸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중간의 현상으로 주파수가 비슷한 두개의 음이 서로 만나서 보강,소멸을 교대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음이 커졌다,작아졌다를 반복하여 “웅~웅”하는 비트음을 발생한다.

이 맥놀이 주파수는 두 음의 주파수 차이( f1-f2 )와 같다.

All copyright 한국CBM(주)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