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8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348-visope (탄성과강성, 유연지지,진동시험승인,진동평가단위)

 

진동 단위변환과 센서 그리고 평가단위

우선, 가장 좋은 방법은 본래 물리량의 단위로 비례하여 출력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나온 값 그 자체로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이 방법의 첫째로 가속도센서로 G나 m/s²을 기본으로 평가하는 대상인 인체환경진동, 지진정밀기계류에는 센서출력값의 단위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 단위를 기본으로 추가 변환식에서 산출된 값을 사용한다. 두번째는 변위센서로 측정해야 하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20074007139pb

탄성지지(유연지지; flexible elasic support)와 강지지(rigid support)

탄성지지;유연지지(Flexible Elastic support)

-진동발생원으로부터의 진동경로를 차단한 지지방법

-사람과 건물의 건강을 위함이 목적.

-금속스프링, 고무, 공기스프링 등을 사용

-주요작동주파수보다 25%이상 낮은 지지구조 고유주파수......

진동시험의 종류 및 승인시험(acceptance test)

시험계획에는 중요한 진동데이터의 누락이 없도록 시험목적이나 시방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시험은 승인시험, 진동감시 및 진단, 진동특성시험으로 구분할 수있는데 물론 진동계측에 정통한 작업자나 진동계측 진단자격을 가진 작업자로 하여금 수행되는 것이 승인 받은 결과의 기본이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26072409710hp

강성과 탄성의 차이

강성(Stiffness)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

-형상(길이, 방향, 지름 등), 재질, 고정방법에 따라 변동

-k

-탄성에너지(위치에너지)의 요소

-정강성(변위를 구할때)과 동강성(고유주파수를 구할때)

-F=kx, Wn=√(k/m)

#강성, #탄성, #로터, #고유주파수, #진동단위, #진동센서, #진동평가, #승인시험, #진동시험, #탄성지지, #유연지지, #강지지

https://blog.naver.com/vs72

#강성, #탄성, #로터, #고유주파수, #진동단위, #진동센서, #진동평가, #승인시험, #진동시험, #탄성지지, #유연지지, #강지지



2024년 12월 4일 수요일

BISOPE series 70 Force first or acceleration first


BISOPE series 70- Force first or acceleration first?

-----------------------------------------------------------------------------

I asked a person who was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hich came first or acceleration first? The piezo principle, which is most commonly used as an acceleration sensor, generates a charge proportional to the physical quantity called acceleration and reads it on a measuring instrument.

However, this is what I am asking.

Does the piezo principle acceleration sensor measure force first?

Does it output directly as acceleration? Or does it measure and convert pressure?

Are force sensors, acceleration sensors, and pressure sensors that use the same principle the same?


Keywords

Dynamic force, Static force, Dynamic force, Accelerometer, Force sensor, Impedance, Accelerometer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frequency setting, #Fmax, #maximum frequency, #sampling frequency, #sampling rate, #FFT, #3-axis vibration sensor, #acceleration sensor, #vibration education, #building vibration, #vibration measurement, #resonance analysis, #resonance measurement, #vibration monitoring, #vibration noise consulting  www.kCBM.kr,   https://blog.naver.com/vs72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

https://blog.naver.com/vs72

108 힘이 먼저인가 가속도가 먼저인가


힘, 가속도, 압력의 측정

힘은 벡터를 가지고 있는 양이다. 이 벡터의 방향을 측정하여 발생하고있는 위치나 힘의 전달방향/경로(TPA)를 측정할 수 있다.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힘이 가해지는 질량을 이미 알고 있다면 가속도를 알 수 있다. 또한 힘은 압력과 면적과의 곱이므로 힘이 가해지는 집중하중의 수직면적을 알고 있다면 힘을 가했을 때 압력 또한알 수 있다.



https://blog.naver.com/vs72

2024년 12월 1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343-visope (현의고유주파수, 철도진동, Hz, 비교AI)

 

시계추와 기타줄의 고유주파수

단진자는 질량을 가진 추가 선으로 중력을 받고 있을 때 좌우로 초기 힘을 주고 나면 반복하여 운동하게 된다.

선의 길이(L)가 짧으면 빨리 반복하고 선이 길면 느리게 반복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물리적인 경험에서 약간 느끼기 어려운 점이 있다면 이 고유한 운동의 반복성은 질량과는 관련이 없다는 점이다. 단지 선의 길이와 관련이 있을 뿐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20071500082lj

지진과 철도진동(노면진동)의 차이

대형건물은 생활의 안락감, 경제성, 환경문제, 안전성 그리고 기존설계의 변경 측면에서 매우 엄격하므로 면진장치를 적용한 설계시 정밀한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형건물을 지진으로부터 면진시키는 방법이나 원리는 철도에서 발생하는 지반의 진동을 면진시키는 것과 같으나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 즉,이 것이 지진과 철도진동..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07075044285ts

Frequency와 Hz

대표적인 Hz의 사용예

(지진 2Hz, 모터회전수 29Hz, 소리 4kHz, 초음파 43kHz, FM 라디오 89MHz, 핸드폰 1.2GHz, 적외선 430 THz, Xray 3x10¹⁸ Hz...)..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22081025049om

비교를 통한 러닝 그리고 분류, 군집

인공지능이 편의성을 추구하는 인간을 위해 기계의 결함을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는데 많은 연구가 가지에서 전세계적으로 진행중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뭔가 다른 점이 있다. 기계의 결함진단은 모두 전문가들이 수행하는 영역으로서 기존의 다른 영역처럼 비전문가의 영역(노동집약, 단순분리영역, 행동예측, 통계처리 등)의 경우와 다르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41119071457042ia

#비교원리, #머신러닝, #AI, #군집분류, #주파수, #Hz, #고유진동수, #고유주파수, #철도진동, #철도차량진동, #철도노면진동, #지진진동, #frequency, #헤르쯔

https://blog.naver.com/vs72

www.kcb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