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BPF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BPF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11-visope (FTF, 18436진동분석가자격증, 질량불평형과 축정렬불량의 차이, 기어진동주파수분석)

 

FTF(베어링 케이지 결함)

베어링 케이지(cage, retainer)결함 주파수는 보통 0.35~0.48X RPM으로 1X RPM의 하부 주파수대역에 분포되어 있다. 케이지 결함은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다른 구성요소(ball/roller 결함 )의 결함을 같이 동반하며 사이드밴드 주파수로 나타난다. 케이지 결함은 급속한 베어링의 결함으로 이어질 경우가 잦고 이로 인해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16075027687xi


ISO18436-2 진동분석가 자격시험 예상문제 - 실전문제 5-13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회전기계의 문제로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중고속으로 회전하는 대형 축(shaft)을 포함한 기계설비는 질량의 Unbalance 이외에도 이 현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매우 고가격의 설비의 보호를 위함인데 저속 shop balancing에서 발견할 수 없고 실제 회전속도로 가동하는 설치현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적인(thermal growth) 현상이나 자이로스코픽 현상에 의한 영향일 수도 있으나 대체로 설계오류의 가능성이 크다. 방향성 진동이 특징이며 속도의 변화에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Angular Misalignment

② Parallel misalignment

③ Rubbing

④ Oil whirl

⑤ Bent, bow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24200236011kw


질량불평형과 축정렬불량(원인)

질량불평형(Imbalance)의 원인은 무엇일까?질량불평형의 상태는 회전할 때 비로소 발생하는 문제가 되는데, 원심력과 연결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원심력은 회전각속도를 변수로 할 경우에 질량과 회전반경에 비례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회전각속도(각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 원심력을 크게하는 것이 질량불평형의 원인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17075507638by


기어의 진동원인들과 관련한 주파수 스펙트럼분석(frequency analysis)

기어의 문제는 진동과 소음이 정상과 다르게 발생할 때 이슈가 된다. 물론 절대적으로 고장과 노이즈의 비례성이 성립되지는 않지만, 진동소음이 크다면 분명 문제가 된다. 그리고 이때 기어의 결함일 가능성은 아주 높다.그런데, 진동은 단순히 크기만으로 판단하여 그 결함을 짐작함을 넘어서 이제는 결함의 원인을 찾아야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24203117173hk


#FTF, #18436진동분석가자격증, #질량불평형과 축정렬불량의 차이, #기어진동주파수분석, #BSF, #BPFI, #BPFO, #케이지, #리테이너, #철도베어링, #롤러베어링결함, #진동주파수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진동소음공진 하이라이트 551-visope (BPFI, 신호의 누설현상, 18436진동자격증, Fmax)

 

BPFI(베어링 내륜결함)

BPFI는 구름요소가 내륜(Inner race)에 있는 결함을 지나갈 때 생성된다. 1X BPFI는 일부 베어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반적으로 비동기주파수이다.

스펙트럼과 시간파형의 특성은 BPFO와 아주 유사하며 외륜이 고정되고 내륜이 회전되어 있을때에는 축회전수에 의해 변조(BPFO와 반대)되므로 1X RPM의 사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16073452840vs



신호 취득시 오류, 누설현상 Leakage

신호를 디지털하기위한 데이터 샘플링시, 'Block size의 끝이 그 다음 Block size의 처음과 서로 일치하지 않아서 생기는 주파수 및 진폭의 오류'를 Leakage(누설현상)이라고 한다. 연속파형으로부터 시간길이 'T '동안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은 절취해낸 파형을 주기적으로 연결하여 합한 연속파형을 분석하는 것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18075527737gs



ISO18436-2 진동분석가 자격시험 예상문제 - 실전문제 4-6

1-2. 다음 중 회전속도가 대체로 고정된 상태로 가동하는 설비 또는 기계류를 고르시오.

① 인버터 전원공급 섬유기계

② 공동주택용 부스터 급수펌프

③ 직류모터 구동 냉간압연설비

④ 고속열차 KTX

⑤ 가스터빈 발전기 세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918112236461nt



주파수 설정(최대주파수 Fmax와 Sampling주파수)

진동측정을 위한 주파수 설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최대주파수(Fmax)를 설정하면 된다. 이 것은 스펙트럼 그래프의 가로축 최고 주파수를 의미한다. 과거의 고급 FFT 종류에서는 이 것을 샘플링주파수(Sampling frequency, Sampling rate)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것은 진동계측기에서는 보통 Fmax의 2배에 해당한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30905120549028qb



#BPFI, #신호의 누설현상, #18436진동자격증, #Fmax, #진동샘플링, #샘플링주파수, #BPFO, #내륜주파수, #외륜주파수, #진동주파수, #주파수분석, #설비진단, #leakage


https://blog.naver.com/vs72



2025년 8월 20일 수요일

BISOPE series 91 Vibration Problem of Rolling Bearing 4 Cause of De...


BISOPE series 91- Vibration Problem of Rolling Bearing - 4 - Cause of Defect Frequency----------------------------------------------------

Rolling bearings have their own defect frequency calculation formula. This defect frequency always occurs even if it is small, but it is not exactly a natural frequency because the frequency is constant and unique, so it is not called a ‘defect’ frequency but a ‘natural’ frequency of the bearing. This is because the natural frequency actually exists somewhere else. Therefore, it seems a better expression to change the name of this defect frequency to the ‘rotational characteristic frequency’ of the rolling bearing.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I get questions about this rolling bearing defect frequency not matching the formula. After a long period of operation and disassembly, the bearing defect is correct, but the frequency is close to it, but it is not accurate. Therefore, it is only a correct formula if the outer ring is defective (scratched) and assembled and turned right away. Since the characteristics change slightly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tapping when assembling the bearing, there is bound to be a slight error. Moreover, as time passes, the tolerance of the bearing increases and becomes looser, and the frequency also fluctuates. So how do you check for bearing defects?

 

Fault frequency mechanism of cloud bearings

 

Bearing defects are checked by the frequency or time waveform pattern. If the pattern (harmonic, sidebands) is checked, and the bearing information is not accurate and there is an error of less than 10Hz,

Keywords: Bearing vibration, rolling bearing, bearing defect, spectrum, BPFI, BPFO, inner ring defect, outer ring defect, bearing defect frequency, bearing natural frequencyMeasurement Location

#vibration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resonance measurement#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frequency setting, #Fmax, #maximum frequency, #sampling frequency, #sampling rate, #FFT, #3-axis vibration sensor, #acceleration sensor, #vibration education, #building vibration, #vibration measurement, #resonance analysis, #resonance measurement, #vibration monitoring, #vibration noise consulting  www.kCBM.kr,   https://blog.naver.com/vs72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

 


129 Rolling Bearing의 진동문제 4 결함주파수의 원인


Rolling Bearing의 진동문제-4-결함주파수의 원인

------------------------------------------------------------------------------------------------------------------

구름베어링은 고유한 결함주파수 계산공식을 가지고 있다. 이 결함주파수는 미세하더라도 항상 발생하는데 ‘결함’주파수가 아닌 베어링의 ‘고유’주파수라고 부르자고 하기에는 주파수가 일정한 채 고유한 일정하므로 정확히 고유주파수는 아니다. 고유주파수는 실제로 다른 곳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결함주파수를 구름베어링 ‘회전특성주파수’로 바꿔 명칭 하는 것이 더 나은 표현처럼 보인다.


렇다면 어떻게 베어링의 결함을 확인하는가?

구름베어링의 결함주파수 메커니즘

베어링의 결함은 주파수나 시간파형(Waveform)의 패턴으로 확인한다.

패턴(Harmonic, Sidebands)으로 확인했는데 베어링의 정보가 정확하지 않으며 10Hz이내의 오차가 있다면 베어링의 결함으로 판단해도 무난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구름베어링은 거동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이 주파수는 회전주파수와 관련이 있으나회전수의 정수배(Harmonics, Synchronous)로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베어링의 고유주파수(Natural frequency)도 존재하는데 대체로 구름베어링의 결함주파수의 10배 이상의 고주파에서 존재하므로 이 주파수군에 가까울수록 베어링의 진폭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 결함 시에는 극 고주파인 음향방출(AE)에 의한 초음파로 읽어 들이기가 더 쉬우며 Looseness현상과는 달리 베어링의 결함이 심화될 경우 고주파에서 심한 측대파(Sidebands)가 더해지면서 아래의 저주파 대역으로 번지게 되는 패턴을 가진다.

이 때 만약 그 영향이 1x TS까지 미칠 경우에는 베어링을 교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All copyright 한국CBM written by BISOPE , vs72@naver.com, 070-4388-0415, www.kCBM.kr

키워드

베어링진동, 구름베어링, 베어링결함, 스펙트럼, BPFI, BPFO, 내륜결함, 외륜결함, 베어링결함주파수, 베어링고유주파수

2025년 5월 7일 수요일

모의고사 10문- 18436-2 설비진단진동전문가 자격시험 2505

 

1. 진폭(Amplitude)의 종류와 단위(주단위, 부단위)그리고 주요 사용주파수로 알맞게 짝지어 진 것을 선택하시오.


① 가속도-zero to Peak-고주파

② 각속도-rms-고주파

③ 변위-Peak to Peak-저주파

④ 속도-average-저주파

⑤ 속도-0 to peak-중주파


2. 다음은 무엇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인가?

계측기에서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최저-최대 진폭을 의미하며 대체로 ‘dB’로 표기한다. 계측기는 디지털로 표현되므로 2진수 16bit라면 20log(2^16)=96dB, 24bit라면 144dB로 표기된다.


① Resolution

② Dynamic range

③ Line number

④ Sampling rate

⑤ Maximum frequency


3. 다음 중 평균화 기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Peak hold

② 산술평균

③ 대수평균

④ overlap

⑤ window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250428082637627bw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sope/visope/contents?categoryId=18a634ee594000mzg



#진동자격, #18436, #진동문제, #10816, #window, #진동평가, #공진, #FRF, #resonance, #rms, #고주파, #balancing, #평균화, #BPFI, #위험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