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진단이란? (설비예지보전- 설비보전의 방법)
-------------------------------------------------------------------------------------
사람이 몸이 아파서 병원에 가면 의사는 진단을 하기 전에 여러 가지 검사를 한다. 엑스레이, 청진기, 심전도, 혈액검사 등.. 그 다음 몸이 어디가 이상이 있는지 판단하고 조치를 취한다. 심장을 가진 사람을 진단한다는 것은 회전하는 기계를 진단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다. 기계를 진단하는 기술, 있을까? 이것이 바로 회전기계의 설비진단이다. 그리고 자격을 가진 진단분석가가 있다.
설비진단(Machine fault analysis; Health analysis)
설비진단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에 비로소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풀어서 말하면 '회전기계의 결함분석'이라고 할 수 있지만, 국내에 이 종류의 기술이 처음 도입된 시기인 1990년대 중반에 국내 수입업체들이 번역하면서 만들어 낸 용어였고 국내 소음진동공학회에서 만들어진 ‘설비진단강습회, 설비진단자격인증원’이 창립된 후로 용어가 정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어쨌든, 대한민국의 설비진단 관련 선구자 들은 용감하게도, 지금도 그렇지만, 국내에 이 용어를 근거로 계측기 판매영업을 하기 시작함과 더불어 고급 설비진단 엔지니어링 기술들도 도입하였다.
설비진단의 개념은 주로 장치산업(화학플랜트, 시멘트, 제지, 철강, 전력 등 연속기계 시스템인 플랜트로부터 제품을 양산하는 산업을 말함)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여 설비진단이라는 단어 대신에 다른 용어 (회전기계진단 또는 기계진단)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대명사로서 인식이 되었고 오히려, 설비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건설산업에서는(보일러, 공조, 배관 등을 말함) 설비진단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지 않다.
이 설비진단은 플랜트 내에서 존재하는 수많은 회전기계(모터 및 터빈, 엔진 등으로 구동하는 기계 조합)들 즉, "살아서 가동하고 있는 기계"들을 진단하고 원인을 해결하여 수명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분야(PDM)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왜냐하면 PDM(예지보전)을 위해서는 사람을 진단하는 것처럼 상세하게 설비(기계)의 현재상태를 가장 잘 파악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많은 측정장비와 진단기술(설비진단기술)이 근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진동, 윤활, 초음파, 열화상, 온라인모니터링, 레이져 얼라인먼트, 발란싱, 전류분석 등).
키워드
|
PDM, 예지보전, 설비진단, 진동, 기계진단.
|